본문 바로가기
가드닝

조선측백나무와 서양측백나무 차이, 조선측백나무 학명(속명)이 바뀌었다고!?!

by 팔마로사 2025. 10. 11.
반응형

 

몇 년 전 양평나무시장에 갔다가 조선측백나무와 서양측백나무, 미측백나무 구별이 안되서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왜 가격 차이가 나는지? 궁금해했었어요.

9월에 속초 여행을 갔을때 우연히 조선 측백나무를 보게되어 사진을 찍었고, 얼마전 찍은 서양측백나무와 비교해볼까 합니다.

 

먼저 조선측백나무에요. Thuja orientalis L. -> 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꽤 크고 풍성한 모양이지요?

 

바닷가의 도로 옆에 심겨있는데요. 적어도 10년은 되어보여요.

목대가 굵은걸 보니 더 오래되었을 수도 있겠네요.

빽빽하게 자라서 차폐를 잘 해주고 있습니다. 군데 군데 시든 잎은 보이지만, 전반적으로는 건강상태가 양호해보여요.

 

아래쪽 줄기에서 새로 자라난 잎들을 보니, 더 건강하고 푸릇푸릇해보입니다.

잎의 앞면과 뒷면이 거의 같은 색으로 보여요.

조선측백나무의 가장 큰 특징은 열매에요. 동그랗고 뿔이 난 모양이지요.

잘 익은 열매를 열어보면 날개 없는 씨앗이 있습니다.

 

다양한 수형을 사진에 담기 위해 집 근처에서 조선측백나무를 더 찾아보려고 돌아다녔는데, 황금측백나무만 많았고 조선측백나무는 찾지 못했어요.

그래서 찾아봤습니다. 측백나무가 자라면 수형이 어떻게 되는지!!

 

잘 관리된 조선측백나무의 모습이 궁금하시다면, 올림픽공원의 나홀로 나무를 확인해보세요.

 

서울 가볼만한곳 올림픽공원 몽촌토성 나홀로나무 피크닉장소

서울 가볼만한곳 올림픽공원 몽촌토성 나홀로나무 피크닉장소 방문일 : 2025.10.8.(수) 드디어 연휴 중 날...

blog.naver.com

 

창덕궁의 300년된 측백나무도 구경해보시구요. ㅎㅎ

 

창덕궁의 우리 나무 [회화나무, 측백나무, 향나무]

조선왕조 5대 궁궐을 탐방하다 보면 아름드리 나무들도 참 아름답더라구요. 근데 뭔 나무인지 알 수 없어 ...

blog.naver.com

 

천연기념물 제1호 대구 도동 측백나무도 확인해보세요.

 

천연기념물 제1호 대구 도동측백나무숲 대구가볼만한곳

대구가볼만한곳 천연기념물1호 대구 도동측백나무숲 여름 스케치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제1호는 무엇일까? ...

blog.naver.com

 

 

 

이제 어린이대공원에서 찍은 서양측백나무를 보겠습니다.

Thuja occidentalis

여기서는 길 옆으로 커다란 수벽을 만들고 있는데요.

전체적인 잎의 자람새가 비를 맞아 풀이 죽은듯합니다.

 

군데군데 공간이 있어서 완벽한 차폐가 되지는 않지만, 좀 더 해가 잘드는 양지에 식재해 가지치기를 해줬다면 좋은 나무울타리가 되었을 것 같아요. 

 

서양측백나무 (미측백나무도 포함하는 이름으로 보임)의 경우 열매가 튀밥처럼 작고 길쭉합니다.

잘 익은 열매의 경우 안에 날개가 달린(단풍나무처럼) 씨앗이 있어요.

 

서양측백나무는 조선측백나무와 달리 잎도 앞뒷면의 색이 다릅니다.

제가 보기엔 앞면은 코팅이 되어있고, 뒷면은 매트해보여요.

 

서양측백나무 울타리를 지나니 포인트 나무로 홀로 심겨진 서양측백나무도 발견할 수 있었어요.

여기도 플라타너스 나무의 그늘이 지는 곳이라 조금 더 엉성한 모습이긴 하지만, 피라미드 형태로 자라나는 걸 볼 수 있네요.

(물론 서양측백나무도 판매되는 이름은 같지만, 실제론 종류가 다양해서 다른 품종일 가능성도 있을 것 같아요.)

 

위에서 조선측백나무 학명을 다르게 표기한 것 눈여겨보셨나요?

학명을 써주려고 보니 thuja라고 했다가, platycladus라고 표기된데도 있고 해서 찾아봤어요.

 

본래 Thuja라는 속이었고 이 속이 곧 측백나무속이었는데, 이 속과 상이한 점[10] 때문에 플래티클라두스속(Platycladus)으로 따로 분리되었고, 현재는 이 쪽을 측백나무속으로 칭한다. 학계에서는 현재 원래 있던 측백나무속인 Thuja를 한국 특산종인 눈측백(Thuja koraiensis)의 이름을 따 눈측백속으로 바꿔서 부른다. 현재는 유전적으로도 실측백나무속(Cupressus)[11]이나 노간주나무속과 더 가까운 것으로 본다. - 나무위키 (2019.02.15 속명이 변경되었다네요.)

 

Platycladus의 의미와 특징

어원 및 의미: 'platycladus'는 라틴어로 '넓은(Platy-)'과 '가지(clado)'를 뜻하며, 이는 속명 내 나무의 가지가 넓게 퍼진 형태에서 유래했습니다. -네이버 ai브리핑

 

그럼 조선측백나무는 속명이 바뀐거고 (Thuja에서 Platycladus로)

Thuja는 눈측백속이라고 부르기로 했으니,

Thuja occidentalis인 서양측백나무는 유통명을 서양눈측백나무로 바꿔야하나요? ㅎㅎ

복잡해지네요.ㅋㅋㅋ

 

 

조사하다 발견한 다른 블로그 이웃님들 글이에요. 살펴보시면 조선측백/서양측백/화백/편백 구분하는데 도움이되실 거에요.

 

측백나무과 식물 잎 비교 - 기공조선을 중심으로

측백나무과 식물들인 측백, 서양측백, 화백, 편백, 향나무의 잎 비교 , 기공조선 비교

blog.naver.com

 

측백나무[Platycladus orientalis](2)꽃과 열매에 관하여...측백나무과 상록교목 자생식물

  ▲ 우리나라 자생식물인  측백나무의 꽃과 열매에 관한  동영상 먼저 올려 봅니다.&...

blog.naver.com

 

이번에 어린이 대공원에서 조선측백나무는 찾을 수 없었는데요.

(워낙 넓다보니 전체적으로 수색해보진 않았어요. 그냥 발견하는 대로 찍었네요. ㅎㅎ)

 

조금 더 햇빛이 잘드는 곳에서 자란 서양측백나무 울타리의 모습과, 차폐용으로 측백나무를 기를 때 주의할 점 그리고 비가림 시설이 있는 곳에서 자란 서양측백나무에서 발생한 의외의 문제!

또 조선측백나무를 개량한 황금측백나무의 다양한 모습과 가지치기시 유의사항을 이어지는 포스팅에서 작성해보겠습니다.

반응형